K-패스란 무엇인가요?
K-패스는 정부가 지원하는 대중교통 요금 환급 제도입니다.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에게 요금 일부를 환급해 주는 방식으로, 환급은 월 최대 60회까지 가능합니다.
환급 대상 및 혜택 비율
구분 | 환급 비율 |
일반 성인 | 20% |
청년(만 19~34세) | 30% |
저소득층 | 53% |
예: 하루 4천 원 교통비 × 20일 = 월 8만 원 → 청년이면 약 2만 4천 원 환급
카드 선택 기준에 따라 나뉘는 K-패스 카드 추천
1. 전월 실적 없이도 K-패스 혜택만 받고 싶다면
실적 조건이 부담되거나, 대중교통만 단독으로 사용하시는 분께 적합합니다.
카드사 | 카드명 | 특징 |
케이뱅크 | ONE 체크카드 | ▪ 전월 실적 없이도 K-패스 환급 가능 ▪ 국내외 가맹점 일부 적립 및 청구 할인 제공 |
카카오뱅크 | 부릉부릉 K-패스 체크카드 | ▪ 전월 실적 필요 없음 ▪ K-패스 환급 외에도 기본 생활 할인 가능 |
2. K-패스 혜택 + 생활 할인까지 함께 누리고 싶다면
교통비 외에도 통신비, OTT, 편의점, 주유, 외식 등 다양한 생활영역에서 혜택을 받기 원하시는 분께 추천드립니다.
(1) IBK기업은행 – K-패스 신용카드
전월 실적: 20만 원
연회비: 2,000원
주요 혜택:
- 대중교통 건당 200~300원 할인
- 주유, 통신, 외식 할인
- 놀이공원 연 4회 본인 무료입장, 자유이용권 50% 할인
(2) iM뱅크 – iM K-패스 신용카드
전월 실적: 30만 원
주요 혜택:
- 대중교통 추가 10% 할인
- 배달앱, 편의점, 통신, 카페 등 생활 업종 5% 할인
- 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, 디즈니+, 티빙 등 OTT 5% 할인
- 체크카드도 있으나, 할인율은 2%로 낮고 실적 기준은 20만 원입니다.
(3) 신한은행 – K-패스 신용카드
전월 실적: 30만 원
주요 혜택:
- 대중교통 10% 할인
- 간편 결제(신한 SOL페이, 삼성페이 등) 5% 할인
- OTT(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 등) 5% 할인
- 통신비 5% 할인
- 체크카드는 혜택이 줄어듭니다(할인율 2%, 통신비 할인 없음).
3. 교통 특화 카드 – 티머니 Pay & GO 신한카드
전월 실적: 30만 원
K-패스 환급 외 추가 혜택:
- 대중교통 30% 할인
- 고속/시외버스, 킥보드, 택시 등 20% 할인
- 백화점, 편의점, 통신, 카페 등 생활 업종 5% 할인
교통수단을 다양하게 이용하시는 분, 특히 자주 택시나 킥보드를 이용하시는 분께 적합합니다.
신분당선 및 고가 노선 사용자라면?
신분당선, GTX, 광역버스 등을 주로 이용하시는 경우 요금이 비싸기 때문에 정기승차권을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.
신분당선 정기권은 구간에 따라 8단계 이상부터 사용 가능하며, 구간별 요금 차이가 크므로 충전 전 역무원에게 반드시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.
2025.04.21 - [오늘] - 지하철 요금 인상 추진 상황과 일정 및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
지하철 요금 인상 추진 상황과 일정 및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
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, 이르면 6월 중 150원 인상 예정 요금 인상 개요구분현재 요금인상 후 요금인상 폭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 (성인, 카드 기준)1,400원1,550원+150원 적용 지역: 서울특별시, 경
wandering.progress-joo.com
마무리 조언
대중교통만 사용하고 실적 채우기 부담스러우신 분:
→ 케이뱅크 ONE 체크카드, 카카오뱅크 부릉부릉 체크카드
생활비와 교통비 모두 챙기고 싶은 직장인:
→ iM K-패스 신용카드, 신한 K-패스 신용카드
다양한 교통수단(택시, 킥보드 등) 자주 이용하시는 분:
→ 티머니 Pay & GO 신한카드
'오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중국이 쥐고 있는 5가지 카드 (0) | 2025.04.25 |
---|---|
지하철 요금 인상 추진 상황과 일정 및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 (1) | 2025.04.21 |
60세 이후 한 달 최소,적정 생활비 계산 (1) | 2025.04.17 |
정년연장 연령층 대립과 해외 정책들 알아보기 (1) | 2025.04.15 |
물가상승기 지갑(가계)을 지키는 소비 전략 (3) | 2025.04.11 |